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쇼핑 위주의 저품질 여행 상품인 일명 '뺑뺑이 관광'<br> <br>이걸 하려고 우리나라에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아오는게 아닐텐데요.<br> <br>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> <br>다시간다, 김태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전부터 악명 높았던 이른바 '뺑뺑이 관광' <br> <br>[2017년 채널A 보도] <br>"화장품 가게와 헛개 판매처에 이어 김 박물관에 들릅니다. 이후 명동과 동대문 등 시내 면세점들을 밤늦도록 다닙니다." <br> <br>명소를 찾는 대신 쇼핑 위주의 관광을 하는건데 지금은 어떤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서울 마포의 인삼 판매점 앞. <br> <br>중국인 관광객들이 줄줄이 가게로 들어갑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여기 한국 국기 보이시죠? 품질은 믿고 사셔도 돼요. 면세가 3300위안(약 63만 원)이고요." <br> <br>1시간 쇼핑이 끝나자 관광 버스는 30분을 달려 건강식품전문점에 도착합니다.<br><br>면세점 두 곳과 화장품 판매점을 더 들르고서야 하루 일정이 끝납니다. <br> <br>[A씨 / 중국인 관광객] <br>"하루 종일 쇼핑만 했어요. 지금까지 갔던 곳들은 마음에 안 들었는데, 이따가 다른 면세점에 또 간대요." <br><br>4박 5일 일정 중 셋째날인 이날 들른 쇼핑센터만 5곳. <br> <br>관광명소는 한 곳도 없었습니다.<br> <br>[B씨 / 중국인 관광객] <br>"제품을 사지 않으면 못 나갈 것 같은 분위기였어요." <br> <br>[A씨 / 중국인 관광객] <br>"(제품을 보느라) 한 시간 동안 방에 갇혀 있어야 했어요.정말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상품인지도 의심스러웠구요." <br><br>쇼핑센터 주변도 골머리를 앓습니다. <br> <br>관광버스와 관광객이 대거 몰려 각종 민원을 유발하는 겁니다. <br><br>도로 한켠엔 불법 주정차를 단속한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는데요. 이런 내용이 무색하게, 바로 옆 도로 한가운데에선 불법 주차된 버스를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[관광 버스 기사] <br>"여기는 안전구역인데, 주차할 데가 없으니까 이렇게 대는 거야." <br><br>뺑뺑이 관광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여행사와 가이드가 쇼핑 수수료로 이윤을 남기는 수익 구조가 굳어졌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채널A가 입수한 가이드 수수료 표입니다. <br> <br>매출 1500달러, 우리 돈으로 200만 원을 달성하면 2만 5천 원, 매출 1300만 원은 30만 원을 쇼핑센터에서 수수료로 받습니다.<br> <br>[현직 가이드] <br>"기사님들께 하루에 5만 원씩 수고비를 드려야 되죠. 아무리 구린 모텔 잡아도 5만 원 정도 하거든요. 그러면 (가이드는) 자기가 30만~40만 원 손해를 보고 진행을 해요." <br> <br>서울시는 현장 검증과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뺑뺑이 관광 상품을 확인하고 우리 정부와 상대국 대사관에 판매 금지를 요청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법적으로 처벌하거나 제재할 근거가 없다보니 완전한 근절은 어려운 상황입니다. <br><br>다시간다 김태우입니다. <br> <br>PD 홍주형 <br>AD 박민지 <br>작가 양주영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